새소식

반응형
자격증 및 공부

UX 디자인 7가지 비밀, 비밀 1

  • -
반응형

비밀 1. 시스템 관점에서 UX 디자인을 넓게 본다.

*task = 운영 체제에서 본 처리의 실행 단위.

일반적으로 스레드를 실행 단위로 하지만, 운영 체제에 따라서는 프로세스, 즉 복수의 스레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전체를 하나의 실행 단위로 보는 경우도 있다.

→ 내가 생각했을 때 태스크는 과업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보통, 어떤 직무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업 단위로 쪼개서 업무를 진행한다.

UI, 인터랙션, UX의 구분

세 개의 개념이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음.

UI(User Interface)

사용자와 제품 사이에 존재하는 면.

이 면에서 사용자와 제품 간의 상호작용이 발생.

UI, 

ex) 아이폰 4의 UI 분석

- 입력장치 : 벨/진동 선택 버튼, 볼륨 조절 버튼, 홈 버튼, 전원 버튼, 마이크, 독(Dock) 커넥터, 카메라,

근접 센서, 밝기 센서, 가속도 센서, 터치 화면에 제공되는 버튼들, 디스플레이(터치식),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

- 출력장치 : 디스플레이, LED, 이어폰 단자, 스피커, 진동 모터,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 등

- 입*출력장치 : 디스플레이, 응용 프로그램 아이콘

UI에는 출력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도 포함된다.

인터랙션 (Interaction)

사용자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품의 UI를 사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의미.

ex) 화면을 flick 하면, 상하로 scroll 되고, 항목을 tap 하면 기능을 함.

인터랙션은 UI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인터랙션 집합과 UI 집합의 차집합 = '목적 달성을 위한 절차'

일반적을 UI 디자인이 입출력장치만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 달성을 위한 절차도 설계하기 때문에, '인터랙션 디자인'이라 불려야 마땅.

but UI 디자인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는 UI 디자인이라고 부르던 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UX(User eXperience)

사용자가 목적 달성 과정에서 느끼는 종합적인 만족을 의미.

ex) 목적지에 빠르고 안전하게 도달하게 해 주는(UI관점)로 vs 속도, 안전성과 함께 운전자에게 즐거운 경험 제공해 주는 도로 (UX관점)

즉, UX 디자인 = 사용자에게 목적 달성 절차의 효율성과 동시에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UI를 디자인하는 것

여기서 만족감은 '본능적(Visceral), 행동적(Behavioral), 반성적(Reflective)' 만족감으로 나눌 수 있다.

본능적 만족감 : 감각적으로 느끼는 만족감(스타일, 촉감, 사운드 피드백)

행동적 만족감 : 사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만족감(사용편의성, 즐거움, 효용성)

반성적 만족감 : 사용자에게 주는 의미, 가치, 메시지를 통한 만족감

사용자 경험은 제품을 구입하기 전부터 폐기할 때까지 전 과정에서 형성된다.

협의의 UX : 제품 구입 후,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UX

광위의 UX : 제품 구입을 위한 정보 탐색 단계부터 대안을 평가하고 구매하기까지 전 과정에서 경험하는 UX

음악, 영화, TV방송 등을 다운로드, 휴대 기기로 전송하고, 시청각 하는 것 = '콘텐츠를 즐기기 위한 일련의 행위들'

따라서 MP3플레이어 UX를 디자인할 때 음악을 즐기는 상황뿐 아니라, 다른 콘텐츠를 즐기는 상황까지 고려한다면,

N스크린과 클라우딩 컴퓨팅을 포함한 혁신적인 UX디자인 가능.

제품 밖으로 시야를 확장해야 혁신적인 UX 디자인을 할 기회가 많아짐.

이를 위해서는 제품이 속한 '시스템' 전체를 봐야 함.

UI의 네 가지 계층

제품의 UI는 일반적으로

LUI(Logical UI), GUI(Graphic UI), AUI(Auditory UI, PUI(Physical UI)의 네 계층으로 구성.

이를 이니셜만 따서 'LGAP UI' 개념.

- LUI : 최상위 계층. 목적 달성 절차, 기능 구조(Function Structure), UI시나리오, 정보 구조 등을 포함.

- GUI : 그래픽 레이아웃, 이미지, 아이콘,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

- AUI : 벨소리, 각종 이벤트 발생 시 제공하는 사운드 피드백을 포함.

- PUI : 가장 낮은 계층. 물리적인 입출력 장치, 버튼 크기와 배치, 그리고 스타일 등을 포함.

이 네 요소는 통합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UX 디자이너는 제품을 통해 사용자가 기대하는 기능성, 사용성, 감성과 가장 가깝게 제품의 UI를 설계하여,

사용자가 기대하는 경험과 디자이너가 제공하는 경험 사이의 Gap을 최소화해야 함.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

UX 디자인 프로세스

UX는 총체적 경험이므로, 전 회사 차원에서 참여해야 한다...

이 말은 즉....

'UX 디자이너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를 조율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

따라서, UX 전문가 되려면, 현업에서의 많은 경험이 필요...^^

→ 그래서... UX에는 '기획'이라는 단어가 자주 함께 쓰이나 보다...

나는 기획에서 벗어날 수 없는 건가... 시키는 일만 하고 싶은데요.


멀고도 험한 UX...

우선 완독 해보고 UX writer 챕터로 넘어가 볼게요.

사용자들의 인지단계, UX를 디자인하는 큰 틀을 이해하고 싶어 읽게 된 책이니까...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